화장실 악취의 근원… ‘이곳’ 한 번도 안 씻어서일 수도
날이 따뜻해지니 화장실서 악취가 심해졌다. 타일도, 선반도 깨끗이 청소했는데 냄새가 그대로라면 청소할 때 손이 잘 닿지 않는 곳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번거로워도 눈에 보이지 않는 곳까지 신경 써야 악취가 해결된다.
우선, 배수구부터 확인한다. 불쾌한 냄새가 화장실 배관을 타고 올라올 때가 있다. 몸에서 떨어져 배관으로 내려간 머리카락, 각질, 이물질 등에 곰팡이나 세균 등 미생물이 번식하면 악취가 날 수 있다. 방치하면 배관 속 오염 물질을 먹이 삼아 벌레가 번식하기도 한다. 배관 냄새는 베이킹소다와 식초로 없앨 수 있다. 베이킹소다와 식초를 한 데 섞어 배관에 부은 후, 15분가량 기다리면 거품이 생긴다. 이때 온수를 부어 씻어내리면 된다. 이렇게 했는데도 배관 악취가 계속되면 배관을 해체해 속에 낀 이물질과 오물을 없애야 한다.
샤워기 헤드도 씻어야 한다. 물이 분출되는 곳이라 곰팡이나 세균 번식에 취약하지만, 이곳까지 청소하는 사람은 드물다. 그러나 샤워기를 잡고 몸 구석구석을 헹구는 과정에서 샤워기 헤드가 오염될 수 있다. 물줄기를 내뿜는 구멍 부분에 때가 끼기도 한다. 청소하지 않은 샤워기 헤드에서 녹농균과 곰팡이 등이 발견됐다는 맨체스터대 연구 결과도 있다. 샤워기 헤드는 과탄산소다로 세척해 준다. 샤워기 줄과 헤드 부분을 분리하고, 과탄산소다를 녹인 물에 1시간 정도 담근다. 이후 칫솔로 물때가 끼기 쉬운 부분을 닦고 물로 헹군다.
변기는 당연히 냄새의 근원지다. 제대로 청소하지 않으면 변기 안쪽과 틈새에 물때나 곰팡이가 생기고, 이들 조직이 점점 단단해지면서 악취가 난다. 물에 희석한 베이킹소다를 변기에 뿌리고, 솔로 문질러서 닦아낸다. 악취가 심하면 식초 세 컵을 변기에 넣고 한 시간 둔 다음 물을 내린다. 변기와 바닥의 오수 파이프가 이어지는 곳에 있는 틈새로도 악취가 올라오기 쉽다. 오래된 화장실일수록 이것이 원인일 가능성이 크다. 틈이 점점 커지면 변기에 본 용변 냄새가 올라올 뿐 아니라 오물도 새어나올 수 있다. 이때는 시공업체를 불러 변기를 해체한 다음, 변기와 바닥 파이프를 다시 단단히 결합해 틈새를 메우는 수밖에 없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5/04/09/2025040903352.html
|